이 포스트를 작성하게 된 이유
'책 -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를 읽고 난 후, 해당 내용이 내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사이드 프로젝트의 형태와 매우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해당 내용을 참고하고 정리하여 나의 프로젝트를 디벨롭하면 더 좋겠다는 생각에 해당 내용을 정리하게되었다.
정리한 내용 또한 블로그에 공유하여 많은 분들이 볼 수 있도록 했다 :)
해당 책 정리는 진행중이며, 스모크 테스트는 많은 기획자/디자이너들이 참고하기에 좋은 내용이라고 생각되어 따로 포스팅 하게 되었다.
제가 진행하고 있는 사이드 프로젝트는 10일간의 애자일 방법론으로 진행했으며 3월 28일에 데이터 결과가 나왔습니다.
현재는 프로젝트를 정리중이며, 다양한 아티클을 참고하고 잘 정리해서 블로그에도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1. 비슷한 테스트의 개념 정리
1.1 Sanituy Test (새너티 테스트)
개발팀 혹은 가발자가 테스트 주체가 되어 테스트 케이스 없이 주요한 단위모듈이나 시스템 모듈을 테스트하는 기법.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을 때 그 기능에 대해서 테스트 해보는 것을 의미. 새로운 기능 뿐만 아니라 수정된 버그에 대해서도 테스트를 진행한다.
1.2 Smoke Test (스모크 테스트)
컴포넌트나 시스템의 주요 기능을 다루는 모든 정의된/계획된 테스트 케이스의 부분 집합. 이런 주요 테스트로 대부분의 프로그램 핵심 기능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한다. 스모크 테스트라는 단어는 전자 회로 기판에 전원을 켰을 때 기판에서 연기가 나는지 안 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한 테스트에서 유래되었다. 전원을 켰을 때 연기가 나면 '당연히' 안 되고 기본 기능이 안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시 개발에 들어갈 것이다.
스모크 테스트를 한다 = 주요 기능이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1.3 Sanity Test와 Smaoke Test의 차이
새너티 테스트와 스모크 테스트는 테스트의 주체, 대상, 방법, 시기 등에서 차이가 있다.
Sanity Test | Smoke Test | |
테스트 주체 | 대부분 개발팀 | 개발팀, 검증팀 |
테스트 대상 | 새로 추가된 기능, 수정된 버그 | 프로그램의 주요 기능 |
테스트 시기 | 주로 빌드, 릴리즈 전 | 주로 빌드, 릴리즈 후 |
1.4 Regression Test(회귀 테스트)란?
수정으로 인해 변경되지 않은 소프트웨어 영역에 새로운 결함이 유입되지 않았는지, 또는 기존에 숨어있던 결함이 노출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이전에 테스트 된 프로그램을 다시 테스팅 하는 것. 리그레션 테스트는 소프트웨어나 실행 환경이 변경되었을 때 수행한다.
2. 아이디어 검증을 위한 '스모크 테스트'
2.1 개념과 목적
- 제품출시 전 아이디어 검증테스트를뜻하는 단어로, 제품과 관련한 웹페이지를 만들고 실제 상품이 출시되지는 않지만 웹페이지로 유입되는 유입률을 확인해 관심도, 좋아요 수, 조회수를 확인 하는 것
- 진행 이유 : 아이디어를 미리 검증해 서비스 개발에 대한 니즈를 확인한다면 추후 팀욜 모아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
STEP 1) 아이데이션
: 평소 ‘이게 있었으면 좋겠다’를 떠올려 보기
간단한 메모도 좋지만 아이디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 핵심설명 (what) : 한 문장 안에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 제안을 담아 서비스를 설명
- 제안배경(why) : 메인 타깃과 그들의 Pain point, 경쟁 현황
- 핵심가치 및 해결방법(how) :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대안을 적용해야 하는지를 기술
(+ 구체적이지는 않더라도, 실현가능한 수준에서 구현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고되어야 하는지도 적어둠)
STEP 2) 스모크 테스트의 목표 설정
: MVP가 없다면 아이디어를 검증하기 위한 작은 목표를설계하기
시장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내가 해결할 수 있는지 비즈니스 목표를 구체화하는 단계, 이를 ‘PoC(ProfofConcept)’라고함
개념 실증이라고 불리는 PoC는 새로운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 효과와 효용을 기술적인 관점에서 검증하는 것을 뜻하며, 신약 개발 공학,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
STEP 3) 가설 설정
: Pain point에 기반한 기능 구체화 단계
스모크 테스트를 위한 비즈니스 목표를 설정했다면
(1) 서비스를 주로 사용하게 될 고객의 Pain point를 중심으로 한 가설을 설정
(2) 이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서비스의 기능단위(여기에 서는목표)로 기술
*목표는 반드시 서비스를 통해 어떤 효익을 얻을 수 있는지 결과론적인 관점에서 기술되어야 함
STEP 4) 사전 설문조사 진행
: 내 가설의 적중률은?
임의로 설정한 가설이 고객의 생각과 동일한지 살펴보기 위해서는 설문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이는 최소한의 시장수요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며, 노력 대비 가설 검증에 효과적인 수단
(1) 가설 복기
- 기업은 더 저렴한 비용으로효과적인 광고 집행을 원한다
- 기업은 자사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잘 드러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광고 플랫폼이 있다면 참여할의사가있다
- 일반 사용자는 (돈 버는) 콘텐츠를 작성하는데 쉽고 간편하게 참여하고 싶어한다
- 사용자는 댓글 기능 공유에 대한 니즈가 있다
(2) 설문의 결과
- 기업 고객은 비용보다 효율성이 나오는 매체에 더 집중한다. 그렇지 않다면 차라리 비용을 더
- 주고서라도 언드 미디어(인플루언서를통한 PR)에 투자하고 싶어한다
- 고객은 보상에 민감하다 리워드 앱의 핵심은 ‘창여하기 쉬운 형태의 보상활동’이며, 그 활동의 형태는 크게 개의치 않는다
- 고객은 자신의 기여로 기업 제품 출시에 기여한다는 심리적 만족보다 리워드에 더 초점이 맞춰져있다
(3) 설문 후 내가 느꼈던 것
‘기업 고객을 위해서라면 앱의 톤앤애너가 너무 가볍지 말아야겠구 나’라는 것과 ‘보상이 좀 더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앱을 만들어야 사람들이 다운받겠구나’라는 것
STEP 5) 정보구조도 작성
: 고객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최소단위로 작성하기
가설과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화면의 뼈대를 만드는 정보구조도를 작성.
일반적인 정보구조 도의 작성과 다른 것은 깊이(Depth).
저자가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며 세운 원칙은 어디까지나 ‘이런 서비스가 세상에 나왔을 때 과연 고객들이 사용할까?'를 확인하려고 했던 것이기 때문에 Depth 2단계가 넘어가지 않는 선에서 간단하게 작성
STEP 6) 화면 설계 및 디자인
: 최소기능과 브랜딩이 드러날 수 있도록 만들기
코딩과 디자인을 통해 앱을 개발하는 것 X = 최대한 실제 앱을 사용하는 듯한 화면을 그리는데 집중.
정보구조도 상의 단계별 화연을 보여주지는 않지만, 앱의 핵심기능과 앱의 브 랜딩 톤이 잘드러날수 있도록 설계.
STEP 7) 고객 반응 살피기
: SNS광고를 통한 스모크 테스트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광고를 통해 서비스의 컨셉만 보고 링크를 누를 것인지 하는 간접적인 수요를 파악해 봄
(1)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랭 광고를 추천하는 이유
-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인 수요조사가 가능하기 때문
(2) 광고 집행 결과
- 3일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3만 원 미만의 광고 예산을 집행한 결과, 첫 번째 목표였던 ‘보상형 광 고 플랫폼에 대한 니즈 - 광고 게시글 클릭 수 50회 이상'을 달성할 수 있었음
- 광고 성과로는 형편 없는 실적이었지만 시장의 작은 수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
STEP 8) 액션플랜 짜기
초기에 설정했던 PoC목표 중 2번과 3번을 검증하기 위해 매체제안서와 앱 론칭을 했어야 하지만
어디까지나 시장의 니즈를 발견하기 위한 프로젝트였기에 더 이상의 진행 X
이 계획을 토대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더 진행했다면 와이어프레임과 플로우차트 그리기(앱의 구조를 더 채워 나가기, 디자인 컨셉 재논의(사용자에게 더 어필되기 위한 색상과 레이아웃 서비스 명 등을 검토), 개발 및 QA 테스트 진행, 앱 배포 및 사용자 설문조사 진행 등을 2주 단위로 진행해 보았을 것
마지막) 앱 출시 없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이유
- 고객의 의사를 확인하기 위해 꼭 대면조사를 할 필요는 없다 온라인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
- 고객의 수요는 실제 제품이 없어도 알아낼 수 있다 + 이 수요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기획의 과정을 간접적으로 경험해 볼 수 있다
- 회사에서 주어진 것이 아닌 나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설과 PoC또는 MVP를 만들어 가는 것은 기획자에게 꼭 필요한 경험
- 서비스 출시 경헝은 없지만, 스모크 테스트를 통해 직접 광고를 집행해 보는 경험을 가져보고 마케팅과 서비스 기획이 어떻게 연결고리를 가질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참고 문헌
Sanity Test(새너티테스트)와 Smoke Test(스모크 테스트)의 차이.
📚책 -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Study > 디자인 방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문제 해결 프로세스 · 방법론 정리하기 - PSP Model, 4MAT, 체크리스트 (4) | 2024.04.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