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성적 목표 (Objective)
1.1 정성적 목표 (Objective)가 중요한 이유
- 기업의 비전(기업이 되고 싶은 모습), 기업의 미션(기업이 제공하고 싶은 가치)과 가장 맞닿아 있기 때문
- 예시 1)
- 회사 비전 : 고객은 (서비스/제품명) 없이 어떻게 살았을까?
- 정성적 목표 : 고객에게 (서비스/제품명)을 통해 외식을 즐길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준다.
- 예시 2)
- 회사 비전 : 좋은 음식을 먹고 싶은 곳에서
- 정성적 목표 : 고객은 전국의 특산물 (서비스명)을 통해 원하는 곳에서 먹을 수 있다.
단, 비전은 기업이 존재하는 동안 유지되고, 목표는 특정 주기로 변경될 수 있다.
1.2 정성적 목표 예시
- 신규 서비스의 정성적 목표 예시
- 고객은 OO서비스를 통해 Food Life를 즐길 수 있음을 인식한다.
- 고객은 OO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음을 인식한다.
- 동기 (PM의 관점 👀)
- 접근 동기 : 무언가 좋은 것을 얻기 위해 열심히 일하게 하는 것 (중/장기)
- 정성적 목표 A : OO제품은 가맹점주에게 본인이 원하는 배달매출을 올릴 수 있다는 인식을 확립하는데 기여한다.
- 정성적 목표 B : OO가맹점 연동을 통해 A국가 B2B 결제 시장 최초 간편결제 적용사례를 만든다.
- 회피 동기 : 좋지 않은 것으로부터 회피하기 위해 열심히 일하게 하는 것
- 정성적 목표 C : OO배달 서비슬르 통해 배달비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고객 인식을 변화시킨다.
- 정성적 목표 D : OO안심문자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개인정보 및 보안이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 접근 동기 : 무언가 좋은 것을 얻기 위해 열심히 일하게 하는 것 (중/장기)
- 정성적 목표 수립 예시
2. 정량적 목표 (Goal)
2.1 Review
- 정량적목표의 중요성
- ⭐️정성적인 목표 혹온 목적에 대한 "객관적인 성공/실패 기준'’이기 때문
- 성과측정 방법론 : KPl& OKR
- 공통점 : 성과를 달성하는 과정 혹은 프로세스에 대한 측정방식
- 차이점 : OKR은 일반적으로 KPI에 비해서 단순하고 난기적인 목표 설정을 하는 경우가 많은. 방법의 평가나 수정의 반도를 높일 수 있을
2.2 OKR(목표와 핵심결과)
성과 측정 방법론
-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란 팀이나 조직이 달성해야 하는 목표(Objectives)와 목표달성에 필요한 성과(Key Results)를 묶어서 세트로 관리하는 목표 관리 방법으로써, 인텔에서 최초 활용되었으며, 이후 Google, Facebook 등 실리콘벨리 유명기업들이 도입하였음.
- OKR의 중요한 특징은 다른 계획 방법에 비해 설정, 주적, 재평가하는 빈도가 높음
OKR 예시
- 목표 (Objective) : 고객에게 놀라움과 즐거웅을 선사하여 고객 만족도와 층성도를 높인다.
- 핵심 결과 (Key Result) : 가상 이벤트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긍정적인 입소문을 만든다.
- 핵심 결과 (Key Result) : 고객 이탈률을 월 2% 미만으로 줄인다.
- 핵심 결과 (KeyResult) : FY21에 NPS(Net PromoterScore)를 2포인트 높인다.
2.3 지표
성과 지표 (Performance Indicator)란?
- 조직의 임무, 전략목표, 성과목표의 달성여부를 측정하는 척도로서 성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계량적 혹은 질적으로 나타낸 것
- 성과지표에 의해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성과의 달성 수준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성과관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성과지표는 성과관리의 가장 중요한 요소
- 성과 지표의 유형
- 투입(input) 지표 : 투입지표는 예산집 헹과 사업 추진 과정상의 문제점을 발견하는 것이 목적
→ 필요한 재원 및 인력이 계획대로 집행되었는지 평가하는 지표로 예산집행률, 사업계획에 따른 인력, 재원 잊 물자의 지원 여부, 사업의 최종결과 측정을 위해 중간투입물의 목표달성에 대한 평가에 사용 - 과정(Activity/Process) 지표 : 과정지표는 사업주진의 중 간접검이 목적
→ 사업추진을 단계적으로 나누어 각 단계의 목표달성 여부를 평가하게 되며 사업의 최종산출을 회계연도말까지 얻을 수 없는 경우, 사업의 최종완료까지 사업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 사용 - 산출(output) 지표 : 산줄 표는 예산 잊 인력 등의 투입에 비례하여 목표한 최종산출이 이루어졌는가를 평가하는 것이 목적
→ 사업이 목표한 최종 산출을 달성했는지를 평가하게 되며 최종산출물은 사업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 결과(outcome) 지표 : 결과지표는 사업의 시행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최종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
→ 사업의 최종산출을 동해서 궁극적으로 얻으려는 성과의 달성여부에 대한 평가를 수행. 물질적인 산출이 없는 사업의 경우, 사업의 결과와 산출이 동일한 경우 있음
- 투입(input) 지표 : 투입지표는 예산집 헹과 사업 추진 과정상의 문제점을 발견하는 것이 목적
지표 연계 방식
지표 연계 유형
2.4 제품과 정량적 목표의 연계 - (1) 과정지표와 결과지표
제품별 과정지표(InputMetric)들과 최종 결과지표(OutputMetric)의 연계
2.5 제품과 정량적 목표의 연계 - (2) 선행지표와 후행지표
- 선행지표(InputMetric) : 어떤 상황 및 현상이 일어나기 이전에 발생하는 지표
- 후행지표(OutputMetric) : 상황 및 현상이 일어난 뒤에 나타나 결과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
- 예를 들어, 프로덕트의 판매 영역에서 '리텐션', '유저수'는 선행 지표로 볼 수 있음.
- 리텐션이 높고 유저 수가 높을수록 제풍의 판매 활성화로 이어짐. 반대로 '애줄'은 후행지표로 블 수 있는데, 제품이 팔려야 매줄이 상승하기 때문
- 후행 지표는 여러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현상 잊 상황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가령, 후행지표인 매줄이 떨어지는 결과만 보고 원인을 분석할 때, 리텐션이 감소되거나, 유저 수가 감소되거나 혹은 들이 등시에 일어났을 수도 있기 때문
2.6 지표 분석을 위한 Data 정의
2.7 지표 관리 프로세스
'Study >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Driven - (2) 데이터 드리븐과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 (0) | 2024.05.22 |
---|---|
Data Driven - (1) 데이터드리븐 UX (DDUX)의 개념 이해 (0) | 2024.05.20 |
PMF 검증 방법 + 지표 AARRR & OMTM에 대하여 | PM 강의 (0) | 2024.04.23 |
API란 무엇인가 + 활용할 수 있는 오픈 API 목록 | PM 강의 (0) | 2024.04.16 |
목적와 목표의 정의에 대하여 | PM 강의 (0) | 2024.03.26 |